풍기주변 볼거리

풍기는

산골래기 2013. 1. 22. 21:49

풍기(豊基)

 

 

풍기 지명유래 

신라때는 기목진(基木陣)

고려때는 기주(基州))로 불렀다

1018년(고려 현종9년)에는 길주( 현 안동)에 속해 있었으며

1117년(명종2년)에는 안동부 소속의 현으로

1390년(공양왕)에는 은풍(殷豊)으로

조선 1413년(태종13년) 기천(基川)현으로 불리우다

문종의 태를 은풍 명부산에 묻게되어

은풍의 풍(豊)자와 기천(基)지를 합쳐 풍기군으로 승격 되었다

1458년(세조3년)에는 순흥으로 유배온 금성대군이

단종복위운동을 벌이다 사전에 발각되어 순흥부가 초토화 되는 바람에 풍기로 예속되었다가

1683년(숙종9년) 단종복위운동의 진상이 밝혀지고 순흥부가 회복되어 다시 순흥부로 귀속되었다

1895년(고종32년) 8도 23관찰부로 개편되면서 안동관활부에 속했다가

1896년(고종33년) 13도로 개편되면서 비로서 풍기군으로 불리웠다

1973년(박정희 대통령) 풍기군 풍기면에서 읍으로 승격

그 후 영주(榮州)와  풍기(豊基)를 합쳐 영풍(榮豊)군 풍기읍으로 변경 되었다가

현재  영주시 풍기읍으로 불리고 있다

올해는 읍승격 40주년이 되는해다

 

동쪽으로는 순흥면(順興面),

서쪽으로는 소백산맥을 경계로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大崗面),
남쪽은 안정면(安定面)·봉현면(鳳峴面),
북쪽은 소백산맥을 경계로 충북 단양군과 접한다.
북쪽은 소백산 비로봉(毘盧峰:1,440m) 과 국망봉(國望峰:1,420m),
북서쪽은 죽령을 사이로 소백산 연화봉(蓮花峰:1,394m)·도솔봉(兜率峰:1,314m) 등
소백산맥이 병풍처럼 막아주고

읍전체가 300-400m 내외 분지로  
기호지방(畿湖地方)과의 교통은 죽령(竹嶺)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대표적 특산물과 유명한 것들

풍기인삼

신리시대때 부터 삼으로 알아주던곳으로 풍기 가장 대표적인 특산물

 

 

 

 사과

연교차가 심하고 일조량이 많으며

배수가 잘 되는 연강수량 900mm 정도로 사과생산지로는 적합하여

일찍히 과수농업이 발달 되었다

 

 

풍기인견

풍기는 정감록에 의하면 십승지중 첫번째로

많은 사람들이 전쟁을 피하며 북에서 내려오면서 가져온 인조기술이 발달하여

"냉장고 섬유"라 일컫는 인조견을 생산하여 지역경제에 이바지 하고 있다.

 

 

생강도너츠

약40년 역사를 지닌

단팥이 들어간 찹쌀도너츠에 땅콩으로 버무린 생강소스를 발라 만든것으로

독특함 맛과 향으로 오감을 자극하는 도너츠로 

지금은 다채로운 도너츠로 전국에 체인점을 형성한 풍기인의 정이 담긴 제품이다 

 

 

약선당

 

한우

소백산 청정지역에서 약초먹고 자란 한우와 청국장(뚬북장)

 

 

 

 

 

 

 

풍기지역 관광명소

소백산 국립공원

야생화와 겨울눈산행이 일품인곳

 

 

희방사와 희방폭포

신라 선덕여왕 12년(643년)에 두운대사가 창건한 곳

 

 

금선정

 

 

 

풍기온천

 

 

소백산 자락길

 

 

 

풍기향교

 

 

옥녀봉휴양림

 

 

 

 

 

인근지역 관광명소

부석면 부석사

 

 

 

순흥면 소수서원

 

 

 

순흥면 선비촌

 

 

문수면 무섬마을

 

 

예천군 곤충박물관

 

 

 

단양군 단양팔경

 

 

 

지역축제

인삼축제

 

 

 

소백산 철쭉제

 

 

문화재

문화재로는 영풍 비로사 석아미타 및
석비로자나불좌상(榮豊毘盧寺石阿彌陀-石毘盧舍那佛坐像:보물 996),
풍기 삼가동 석조당간지주(三街洞石造幢竿支柱:경북유형문화재 7),
풍기향교(경북유형문화재 211), 희방사 동종(喜方寺銅鐘:경북유형문화재 226),
풍기 영전사 석조여래입상(靈田寺石造如來立像:경북유형문화재 324),
영풍장도장(榮豊粧刀匠:경북무형문화재 15),
백룡사 석조여래좌상(白龍寺石造如來坐像:경북문화재자료 282)이 있다

 

 

교육기관

 항공고등학교(이전 풍기고-과기고)

 

 

 

공무원 사관학교 동양대학교

 

 

"다양한 관광자원과 정이 넘쳐 나는 풍기로 ..."